기능세라믹연구실
- 실장 최종진
주요 실적
![]() |
열관리 세라믹 소재 기술 관련 논문 게재 2건, 국내 특허 등록 1건, 출원 3건 |
---|---|
고감도 센서 소재 기술 관련 논문 게재 5건, 국내특허 출원 2건 | |
압전 및 자왜 소재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기술 관련 논문 게재 5건, 국제 특허 등록 2건 | |
압전 센서용 친환경 단결정 성장 기술 관련 논문 게재 3건, 국내 특허 출원 1건 |
주요 연구분야
![]() |
고출력 전자부품소자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미래형 열관리 융복합 방열소재 기술 |
---|---|
자동차 부품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다공성 세라믹 단열코팅 기술 | |
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및 압전소재, 고감도 자기센서용 자기-전기 소재 및 응용기술 | |
압전 센서용 친환경 압전 단결정 성장 기술 | |
고신뢰성 금속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단위셀 제조 기술 | |
열전/전기열량/자기열량효과를 응용한 차세대 냉각기술 및 고효율 에너지 소재 기술 |
향후 연구계획
- 정보전자 부품소재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미래형 열관리 융복합 소재 기술 개발
- 압전 단결정 기반 복합체 및 자왜 소재 기반의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특성향상 연구
- 고기능 이방성 세라믹스의 투명화를 통한 원천 소재기술 개발
- 친환경 압전 단결정 성장 기술을 활용한 압전 센서용 소재 개발
- 금속 지지체형 SOFC 고효율화 및 고신뢰성 연구
- 열전효과/전기열량효과/자기열량효과의 융복합화를 통한 새로운 냉각기술 및 소재 연구
- 국제협력, 학연간 협력연구를 통한 에너지소재의 고성능화 연구
연구개발 추진실적
고출력 전자부품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융복합소재 기술 이용 미래형 열관리 기술 개발
[과제 소개]
- 전자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고방열, 고내전압 AlN 세라믹 절연후막 및 고열전도 MgO 방열기판 제조 기술 개발
[기술개발 내용 및 특징, 성과]
-
고방열 AlN 세라믹 절연 후막 제조 기술 연구
- AlN 후막 두께 및 열전도도 향상 기술
- 고열전도 물질 첨가한 AlN 복합 후막 제조 기술
- COH(Chip on Heatsink) 패키지 제작 및 신뢰성 평가 기술
-
고열전도 MgO 기판 저가 제조 기술
두께별 AlN 후막의 미세구조 사진 및 열저항 평가 결과 - 2017년 국내특허 등록 1건, 출원 3편, TOP 저널 게재 2건, 국내학회 2편, 국제학회 1편 발표
레이저 이용한 세라믹 필름의 상온 열처리 결정화 기술개발
[과제 소개]
- 전자 세라믹 필름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고온 열처리를 통한 결정화가 필수적인데, 본 과제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세라믹 필름의 상온 열처리 결정화 기술개발 및 이를 활용한 고효율의 자기/전기 복합체 제작
[기술개발 내용 및 특징, 성과]
-
레이저를 이용한 세라믹 필름 결정화 기술 연구
- 가시광선 레이저를 이용한 압전 PZT 필름의 상온 열처리 공정 연구
- 레이저 결정화된 PZT를 활용한 고성능 자기/전기 복합체 제작
- 이론값에 가까운 우수한 자기/전기변환 성능 달성
여러 레이저의 PZT 필름에서의 투과정도 비교 자기/전기 변환성능의 이론값 및 실제측정값 비교 본 연구결과는 Advanced Materials지의 표지그림으로 선정됨 - 2017년 국제 SCI 논문 4편 게재, 국제특허 1건 등록, 국제학회 발표 5건, 국내학회 발표 3건
IoT 센서 구동용 단결정 압전 하베스팅 기술개발
[과제 소개]
-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IoT 센서 네트워크의 활용확대를 위해서 진동에너지 구동형 압전 하베스터의 에너지 출력 및 신뢰성 향상
[기술개발 내용 및 특징, 성과]
-
압전 단결정을 이용한 고출력/고신뢰성 하베스터 개발
- 압전 단결정의 조성에 따른 하베스팅 출력분석
-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압전 하베스터의 최적구조 설계
- 진동형 압전 하베스터의 출력 5mW이상 달성
압전 단결정 하베스터의 측정모습 (좌), 하베스터에서 출력된 파워 (중간),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한 구조최적화 (우) - 2017년 국제 SCI 논문 2편 게재, 국제학회 발표 4건, 국내학회 발표 3건
연구개발 성공사례
친환경 압전 단결정 및 씨드 소재 개발
[과제 정보]
[기술의 핵심]
- 저가의 일반 소결 공정을 사용하여, 친환경 압전 센서용 저가 단결정 소재 및 씨드 제조 기술 개발
[기술 개발 내용 및 특징]
- 저가의 일반 소결 공정으로, 단결정 성장용 Seed를 사용하지 않고, 친환경 압전 단결정을 제조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
- 개발된 단결정은, Pb(Zr,Ti)O3 (PZT) 계열 단결정에 비해, 2배 이상 높은 압전전압계수를 보임.
- 상용화가 가능한 용융염법을 사용하여, (K,Na)NbO3 (KNN) 계열 친환경 소재의 Seed 제조에 세계 최초로 성공함.

[상용화 실적 및 산재권/논문실적]
- SCI 논문 4편
- 해외 특허 출원 1건
- 국내 특허 출원 3건
- 국내 특허 등록 1건

[기술효과 및 활용분야]
- 개발된 친환경 압전 단결정은 압전전압계수가 PZT 계열 단결정보다 높아서, 압전 센서 분야에서 환경 오염 물질인 PZT 계 소재를 대체할 수 있음.
- 현재 PZT 계 압전 단결정 소재가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 진단기용 트랜스듀서 등에 활용이 가능함.
- 개발된 KNN 계 Seed 소재는 미래 유망 소재인 친환경 압전 배향 소재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.